이와 더불어 산림이 주는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은 산림을 찾는 사람들에게 일상 속 스트레스를 풀고 힐링이 되는 마음의 안식처의 역할도 하고 있다. 성주군은 도심에서 산림을 즐기고 힐링할 수 있는 녹색 휴양공간 도시숲 조성에 큰 힘을 쓰고 있다.
활짝 핀 봄꽃의 향기(성주호 명품가로수길 쌈지공원)
우선 성주군 초전면 용봉리에 위치한 중부내륙고속도로 하행선 성주휴게소 인근에 대규모 철쭉단지를 조성하였다. 2019년도부터 2022년까지 성주휴게소 뒤편 산불 피해를 입은 산림에 총 12억의 예산으로 2.8ha, 17만여본의 대규모 철쭉단지를 조성하여 황폐화된 산림을 복구하고 성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볼거리 및 녹색휴양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가을낙엽이 아름다운 대왕참나무길(이천변 생활환경숲)
다음으로 성주호 주변을 걸으며 산책할 수 있는 성주호 둘레길을 찾는 지역민 및 관광객들에게 볼거리와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성주호 명품가로수길을 조성하였다. 2022년 5억원의 예산으로 성주호 도로변 단절된 가로수(벚나무)를 보완식재하고 쌈지공원을 조성하여 이용객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도심에서 힐링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밖에 성주읍 이천변 주변 0.5ha의 유휴공간을 이용,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에 걸쳐 10억원의 예산으로 소나무 외 9,500여본의 나무를 식재, 관리하여 도심에서도 산림의 정취를 충분히 느끼고 마음의 여유를 안겨주는 녹색공간을 창출, 지역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올해는 더 다양한 형태의 녹색휴양공간이 조성된다. 초등학교 주변 학생들의 안전하고 미세먼지 없는 통학로를 조성하기 위해 2억원의 예산으로 자녀안심그린숲 조성을 계획하고 있으며, 성주호 명품가로수길과 연계 인구감소지역의 활력을 되찾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5억원의 예산으로 실외정원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가로수의 생태적,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성주만의 특색있는 명품가로수길을 조성하고자 가로수 기본계획도 수립한다. 앞으로도 꾸준한 도시숲 조성으로 산림이 지니는 긍정적 효과를 생활권 주변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며, 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등 환경변화에 친환경적으로 대응하고, 군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앞장서 나갈 것이다.
□ 우산고로쇠, 자작나무 등 특색있는 특화림 조성으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실현 ‘산림’은 그 터를 닦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그만큼 커다란 ‘자산’으로 돌아온다. 산림이 국민 누구에게나 이익이 되도록 조성하고 관리하는 일을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라 부른다.
가천면 금봉리 일원에서 진행한 특화림 나무심기 행사
성주군은 미래세대에게 다양한 산림의 혜택을 물려주기 위해 지역별 특성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특화림 조성으로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을 실행하고 있다. 먼저, 가천면 금봉리 일원에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우산고로쇠 19ha, 1만3천여본을 식재하였으며, 올해는 4.5ha, 3천여본을 식재하고 향후 임업인의 안정적인 소득창출을 위한 산림경영 기반을 구축할 것이다.
가천면 금봉리 일원에서 진행한 특화림 나무심기 행사
우산고로쇠 식재 후 매년 풀베기 작업과 드론을 이용한 비료주기 등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으며, 향후 수액이 채취 할 시기가 되면 작목반 구성 및 양여 등으로 임업인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다양한 계획을 모색중이다. 또한 2023년 단년도 사업으로 독용산성자연휴양림 일원에 자작나무 특화림 5ha를 조성한다. 우산고로쇠 특화림이 산림경영을 위한 기반이라면 자작나무 특화림은 관광자원화 기반으로 독용산성자연휴양림을 찾는 관광객에게 다양한 산림휴양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도 성주군은 특색있고 분명한 목적을 가진 특화림 조성으로 산림경영 모델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꾸준히 이어갈 계획이다.
□ 임업인 소득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 구축 성주군은 2023년 임산물 생산농가에 안정적인 소득창출을 위한 생산기반 규모화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주요사업으로 ▲임산물 생산기반을 위한 산림버섯 재배시설보완 및 생산장비 구입비 지원, ▲임산물 표준규격 및 상품화 촉진을 위한 포장재 지원, ▲임산물 유통 출하비용 저감을 위한 택배비지원 ▲단기 소득 임산물 품질향상을 위한 표고버섯톱밥배지, 표고버섯자목, 임산물수액물통, 저온저장고 등 2억8천9백만원을 지원한다. 또한 임가 소득 보전 및 산림의 경제적·공익적 가치의 지속적인 향상을 위해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제」 시행으로 2022년 기준 7천2백만원 규모의 직불금이 1월 중 지급된다. 이처럼 비록 산림의 공익적 가치에 비해 약소하지만 임업분야의 혜택 및 보상체계가 마련되고 있으며, 성주군도 다양한 지원 발굴에 총력을 기울여 임업인 성장에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경북연합방송 gumisun@daum.net
# [경북연합방송]의 사진과 기사를 무단 전재 및 재배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