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구미라면축제가 지난 11월 3일 막을 내리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도시 브랜드 이미지 제고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낭만관광과]024구미라면축제결과보고회_시장님.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017_iftrrsvh.jpg)
축제 기간 동안 17만 1천 명이 방문했으며, 방문객 중 48%가 외지인으로 나타나 축제의 전국적 인지도를 입증했다.
![[낭만관광과]2024구미라면축제_개막행사.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028_gixcbkdm.jpg)
빅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축제 기간 동안 15억 원의 지역 소비가 창출됐으며, 대중교통 이용률도 전주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낭만관광과]2024구미라면축제_게이트.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041_ovktghwo.jpg)
이는 구미역과 축제장 간 우수한 접근성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라면부스 18곳의 총매출은 약 2억 5천만 원을 기록했고, 100여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며 축제의 글로벌 가능성도 확인됐다.
![[낭만관광과]행사 2일차(2).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057_lxtpzxyz.jpg)
축제 방문객 중 52%는 여성이었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19%)와 50대(18.6%)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주요 행사 장소별로는 금오산 잔디광장에서 열린 ‘캐치티니핑 금오산콘서트’, 금리단길의 ‘슬로우북라이프’ 등이 연령대별 방문객의 관심사를 충족시키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축제는 친환경 운영 방식을 도입해 지속 가능성을 강조했다. 라면레스토랑에서는 다회용기 6만 7천 개를 사용해 99% 회수율을 기록했으며, 이를 통해 약 6톤의 탄소 배출을 줄였다. 이는 2,570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에 해당한다.
![[낭만관광과]2024구미라면축제_대문사진.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123_ipcvaxbk.jpg)
안전 관리도 철저히 이루어졌다. 경찰서와 교통봉사대의 협력 아래 ‘키다리 경찰관’의 3단 사다리 활용 등은 방문객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낭만관광과]2024구미라면축제결과보고회_축제기획단.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139_rzeiefuh.jpg)
축제의 성과는 지난 27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결과보고회를 통해 공유됐다. 이날 보고회에는 낭만문화축제위원회, 축제기획단, 자원봉사자, kt 빅데이터팀 등이 참석했으며, 성금 320만 원과 장학기금 200만 원이 지역사회에 기탁됐다.
![[낭만관광과]2024구미라면축제결과보고회_라면레스토랑.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153_afkzyeef.jpg)
또한, 치즈돈까스라볶이가 베스트셀러로 선정됐으며, 브랏부어스트짜장라면이 최우수 메뉴로, 한우곱창스지라면과 삼보해물라면이 우수 메뉴로 꼽혀 현판을 받았다.
![[낭만관광과]2024구미라면축제결과보고회_단체사진.jpg](http://gbyhnews.com/SmartEditor/data/20241128094203_ikfoygni.jpg)
김장호 구미시장은 “라면축제는 구미를 전국적으로 알리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축제를 통해 구미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
2024 구미라면축제는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열렸으며, 2024-2025 경상북도 우수 지정축제로 선정되며 성공적인 축제 운영을 입증했다.
이용철 gumisun@daum.net
# [경북연합방송]의 사진과 기사를 무단 전재 및 재배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