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경북 북부 5개 시군에 전례 없는 피해를 남긴 초대형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해 '긴급 지원 특별 추경 예산안'이 31일 도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청 전경[경상북도 제공]
경북도와 도의회는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산불로 상처받은 도민의 신속한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원포인트 추경 임시회를 개최, 유례없이 신속하게 긴급재난지원금 예산안을 처리했다.
이번 초대형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긴급 지원 특별예산 1,000억원은 피해 주민 긴급재난지원 820억원과 산불 피해 긴급 복구비 180억원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2025년 당초예산 편성 이후 정부로부터 교부된 국고 및 특별교부세 지원사업 44건, 총 1,229억원도 예산 규정에 따라 함께 편성되었다.
긴급재난지원금은 피해 주민들의 빠른 생활 안정과 심리적 회복을 위해 5개 피해 시군 주민 27만 3천여 명을 대상으로 1인당 30만원씩 지급될 예정이며, 피해지 잔해 철거, 안전조치 및 공공 공영시설 긴급 복구 등을 위한 예산도 180억원이 편성되어 신속하게 지원될 계획이다.
추경예산 처리를 위한 도의회 본회의 제안설명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초대형 산불을 계기로 재난 대응체계와 국가 산림관리 대전환을 이루겠다”면서, 산불 장비 대형화와 야간 진화 장비 도입을 통해 강력한 산불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선진국형 이재민 대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산림대전환을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항구 복구를 위한 특별교부세와 이재민 구호를 위한 정부 예비비 등 중앙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을 최대한 끌어내는 한편, 장비 선진화와 이재민 구호를 위한 관련법 개정 및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원 특별법’ 제정을 통해 체계적 복구·지원과 선진 재난 방재 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근거 마련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이번 초대형 산불은 산불 영향 구역 48,238ha, 피해 주택 3,369동, 대피 주민 34,816명, 사망 26명이라는 역대급 피해를 입혔으며, 본격적인 피해 조사가 이루어지면 피해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초대형 산불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도민 분들께 긴급생활지원금이 피해 회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이재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해 전방위적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초대형 산불을 계기로 재난을 지방정부가 책임지고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등 반드시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북연합방송 gumisun@daum.net
# [경북연합방송]의 사진과 기사를 무단 전재 및 재배포시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